티스토리 뷰

경제 이야기

고물가 지속의 원인과 전망

옹기종기 사랑방 2023. 11. 30. 17:48

 

 

2023년 11월 현재, 전 세계적으로 물가가 크게 오르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2023년 10월 기준 5.0%를 기록하여, 2008년 8월 이후 13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의 CPI는 2023년 10월 기준 6.2%를 기록하여, 1981년 12월 이후 4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러한 고물가 지속의 원인은 크게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 수요 측면의 요인

수요 측면의 요인으로는 경기 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와 정부의 재정 지출 확대 등이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경기가 회복되면서, 소비와 투자 수요가 증가했었다.
또한, 각국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재정 지출 확대를 했었는데, 이는 인플레이션을 유발의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공급 측면의 요인

공급 측면의 요인으로는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공급망 차질 등이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생산 차질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공급 감소 등이 원자재 가격을 상승시키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글로벌 공급망이 복잡해지면서, 공급망 차질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는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 기대 인플레이션

기대 인플레이션이란 경제주체들이 미래에 물가가 오를 것으로 예상하는 정도를 말한다.
기대 인플레이션이 높아지면, 현재의 물가를 유지하기 위해 기업들이 인건비와 재료비를 인상하게 되고, 이는 물가 상승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전 세계적으로 고물가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고물가 지속의 전망은 아직 불확실하다.
수요 측면의 요인인 경기 회복과 정부의 재정 지출 확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공급 측면의 요인인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공급망 차질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기대 인플레이션은 각국의 통화 정책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고물가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 인상에 나서고 있지만, 금리 인상은 경기 침체를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공급망 차질이 지속되어 물가를 더욱 끌어올릴 수 있다.

고물가 지속은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물가가 상승하면 실질 소득이 감소하여 소비가 위축될 수 있고, 이는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고, 물가 상승은 자산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양극화 현상을 심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국 정부는 고물가를 잡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미국의 Fed는 금리 인상을 지속하고 있으며, 한국은행도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고 있다.
각국 정부는 원자재 수급 안정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공급망 개선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고물가 지속은 단기간에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각국 정부와 기업, 소비자 모두의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미국 경제성장률과 기준금리 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