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경제 이야기

한국의 고령화 사회

옹기종기 사랑방 2023. 12. 1. 17:12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이다.

2023년 기준, 한국의 고령인구(65세 이상 인구)는 전체 인구의 17.5%를 차지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20%를 넘어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2045년에는 고령인구 비율이 37.6%에 달해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출생 및 사망 동향



한국의 고령화는 크게 두 가지 요인으로 설명된다.

 

첫째는 저출산이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2023년 기준 0.81명으로, 세계 최저 수준이다. 저출산으로 인해 생산가능인구(15~64세 인구)가 줄어들고, 고령인구가 증가하게 되었다.

 

둘째는 기대수명의 증가이다.

한국의 기대수명은 2023년 기준 83.1세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기대수명 증가로 인해 고령인구가 더 오래 생존하게 되어 고령인구 비율이 높아지게 되었다.

 

 

한국의 고령화는 우리 사회에 다양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경제 성장 둔화가 예상된다.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인해 노동력 공급이 줄어들고, 소비 수요도 감소하게 될 것이다. 이는 경제 성장률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 생산가능인구는 경제 성장의 원동력으로,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면 경제 성장률이 둔화될 수밖에 없다.
한국의 생산가능인구는 2023년 3,708만 명에서 2045년 2,723만 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20년 동안 26.5%가 감소하는 것이다.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인해 노동력 공급이 줄어들고, 생산성이 하락하게 될 것이다.

둘째, 재정 부담 증가가 예상된다.

고령인구의 증가로 인해 연금, 의료, 복지 등 사회보장 지출이 증가하게 될 것이다.

이는 국가 재정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국의 연금 지출은 2023년 100조 원에서 2045년 300조 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20년 동안 200%가 증가하는 것이다. 연금 지출 증가로 인해 국가 재정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의료 지출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령인구는 만성질환에 걸릴 확률이 높기 때문에 의료 지출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한국의 의료 지출은 2023년 200조 원에서 2045년 400조 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20년 동안 100%가 증가하는 것이다.

복지 지출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령인구는 사회활동이 줄어들고, 노후 준비가 부족하기 때문에 복지 지출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한국의 복지 지출은 2023년 100조 원에서 2045년 200조 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20년 동안 100%가 증가하는 것이다.

 

 

주요국가 노인 빈곤율 현황

 

 



셋째, 사회 구조 변화가 예상된다.

고령인구의 증가로 인해 가족 구조가 변화하고, 노인 인구의 정치적 영향력이 커질 것이다.

이는 사회 전반적인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

고령인구의 증가로 인해 가족 구성원이 줄어들고, 가족 간 유대감이 약화될 수 있다. 이는 가족 기능의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

고령인구의 증가로 인해 노인 인구의 정치적 영향력이 커질 수 있다.

노인 인구는 투표율이 높기 때문에 정치적 영향력이 커질 수밖에 없다. 이는 정치적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

 

주요 국가별 고령화 현황

 

 

 

한국 정부는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첫째, 출산 장려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출산장려금 확대, 육아휴직 기간 연장, 여성 고용 확대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둘째, 노인복지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노인일자리 확대, 노인요양시설 확충, 노인 건강관리 강화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노인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셋째, 사회 안전망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고용보험, 국민연금, 국민건강보험 등 사회 안전망을 강화하여 고령인구의 경제적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넷째, 국민의 인식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고령화 사회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변화시켜야 한다.

고령인구를 사회의 구성원으로 존중하고, 고령인구의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

한국의 고령화는 우리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정부와 국민 모두가 함께 노력하여 고령화 사회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