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경제 이야기

경제 동행지표

옹기종기 사랑방 2023. 11. 29. 16:29

 

경제 지표는 경기 순환(business cycle)에 관한 시간에 따라 선행 지표(leading indicator), 후행 지표(lagging indicator), 동행 지표(coincident indicator)로 나뉜다.

이중 동행지표는(Coincident indicator)는 경기 전체와 거의 동시에 바뀌며, 따라서 경기의 최신 상황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GDP(Gross Domestic Product), 기업 생산률(industrial production), 개인 소득(personal income), 소매상 판매고(retail sales) 등이 경기 동행 지표에 해당한다.

동행지수는 어느 정도 시간 경과 이후, 경기 순환의 최고점과 최저점(peaks and troughs) 날짜를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경기 동행 지표 지수를 구성하는 경제 통계 항목은 4개이다.

  • 비농업 분야 급여 지불 명부에 기재된 고용인 수(Number of employees on non-agricultural payrolls)
  • 이전지출을 제외한 개인소득(Personal income less transfer payments)
  • 공업 생산률(Industrial production)
  • 제조업 및 무역업 판매량(Manufacturing and trade sale)

 

그리고, 경기선행지수와 동행지수는 경제 지표 중 하나로, 경제의 미래와 현재를 예측하는데 사용된다.

경기선행지수는 경기가 일어나기 전에 상승하는 지표를 종합해서 구성되며, 동행지수는 현재와 과거를 대변하는 지수들을 종합해서 만들어진다.
경기선행지수와 동행지수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경기선행지수가 상승하면, 몇개월정도 후에 경기동행지수가 따라 상승하고, 반대로 경기선행지수가 하락하면 몇개월 후에 따라 하락하는 패턴을 보인다.
하지만, 경제 지표들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경기선행지수와 동행지수의 상관관계가 항상 일정하지는 않다.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분석 개론과 신용위험분석  (0) 2023.11.30
경기사이클과 경제지표의 의의  (0) 2023.11.30
빅맥지수  (2) 2023.11.29
경제 후행지표  (0) 2023.11.29
경제 선행지표  (0) 2023.11.29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